Exhibitions
Grand Detour Jeman Seo 3.20 - 4.20.25

Grand Detour
By Sein Kim

Once upon a time, European aristocrats considered traveling around Italy and France to explore ancient ruins and Renaissance art to be a kind of essential gateway—a concept we call the Grand Tour. It was accompanied by the notion that one would return a more educated human being after seeing the statues, paintings, and majestic ruins of antiquity, created with a sophisticated wisdom of visual representability and identicality.

This solo exhibition of works from Jeman’s travels in Italy suggests a far cry from the travels of such cultured aristocrats: he seems to have wandered at an aimless pace rather than setting his sights on a destination. He wandered through nameless cities on blurry maps and viewed the legacy of the classical era as “vestiges of a broken world.” It was a journey that would be more aptly described as somewhere between an escape and a stroll than a trip, so how about the concept of a Grand Detour?

Seo recalls moments when his senses, which had been crushed by the fast pace of Seoul, were slowly revived by the catalyst of his travels in Italy. The sensations are not organized or interpreted in his memories, but rather seem to flow by themselves on the canvas. The marks left by unexplained memories appear as tangled lines and floating colors on the canvas. Just as someone who has completed the Grand Tour can declare that they have seen Rome, can we say that we have seen the memories of Seo through this exhibition? It's a familiar story, but memories are incomplete the moment they are expressed, even if it's not in words but in pictures. For Seo, painting becomes a language that can more honestly capture that imperfection. In front of his large paintings, which dominate the viewer's field of vision, we are first besieged by a sense of unfamiliarity, rather than the question of how to read them. And before we can ask why a line is stretched this way, or why a color is smeared like a bruise, we are left to ponder where and how Seo's painterly tentacles slipped.

For the artist and the viewer alike, seeing something through a painting may not be a matter of what we see, but rather a matter of better confronting the incomprehensible for what it is. Returning to his studio after a detour to Italy, Seo moves his hands, and this time, the viewer follows his movements. The experience made possible by this exhibition is also a 'grand detour', a journey with a destination set for the process of detouring.

Grand Detour
그랜드 디투어
글. 김세인

한때 유럽의 귀족들은 이탈리아와 프랑스를 돌아다니며 고대 유적과 르네상스 예술을 접하는 것을 일종의 필수 관문처럼 생각했다. 그것이 바로 우리가 ‘그랜드 투어(Grand Tour)’라 부르는 개념이다. 시각적 재현가능성과 동일성에 관한 정교한 지혜로 만들어진 조각상과 그림, 고대의 장엄한 유적을 눈에 담고 돌아오면 더 교양있는 인간으로 거듭난다는 인식이 여기에 뒤따랐다.

서제만이 이탈리아를 여행하며 얻은 것들로 만들어진 이번 개인전은 그런 교양 만렙 귀족들의 여행과는 거리가 먼 것을 제안한다. 그는 목적지에 방점을 찍기보다 오히려 목적 없는 템포를 좇으며 그곳을 배회했던 것 같다. 흐릿한 지도의 무명 도시를 기웃거렸고, 고전 시대의 유산을 ‘망한 세계의 흔적’ 쯤으로 바라보기도 했다고 한다. 그것은 여행이라는 말보다 ‘도피’와 ‘산책’ 사이의 어딘가에 해당할 표현이 더 적절할 여정이었다. 그렇다면 차라리 ‘그랜드 디투어(Grand Detour)’라는 개념은 어떨까?

서울에서의 빠른 속도에 짓눌려 있던 감각이 이탈리아의 여행지를 촉매로 천천히 되살아나던 순간들을 회상하는 서제만. 그때의 감각은 회상 안에서 정리되거나 해석되기보다는 화폭 위에서 스스로의 결로 흐르는 것에 가까워 보인다. 설명할 수 없는 기억이 남긴 자국은 캔버스 위에 뒤얽힌 선과 부유하는 색으로 나타난다. 그랜드 투어를 마친 누군가가 자신이 로마를 보았노라 선언할 수 있었던 것처럼, 우리도 이 전시로써 서제만의 기억을 보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새삼스러운 이야기지만, 기억이란 표출되는 순간 불완전해지며, 그것은 말이 아닌 그림이 되어도 마찬가지다. 서제만에게 그림이란 그 불완전함 자체를 그나마 솔직하게 담아낼 수 있는 언어가 된다. 시야를 장악하는 그의 커다란 그림들 앞에서 우리는 ‘어떻게 읽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앞세우기보다는, 우선 낯선 감각에 포위될 것이다. 그리고 선은 왜 이렇게 뻗어야 했는지, 색은 왜 이렇게 멍처럼 번져 있는지 등을 따지기에 앞서, 서제만의 회화적 촉수가 어디서 어떻게 미끄러졌는가를 헤아리게 될 것이다.

화가에게든, 관람자에게든, 무언가를 그림을 통해 본다는 것은 우리가 무엇을 보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끝내 이해할 수 없는 것을 그 자체로 더 잘 직면하기 위한 문제인지도 모른다. 이탈리아로 우회하여 작업실에 돌아온 서제만은 손을 움직였고, 이번에는 관객이 그 움직임을 따라 우회한다. 이 전시로 가능한 경험 또한 ‘그랜드 디투어’, 그러니까, 우회의 과정을 위해 목적지가 설정된 여정이다.

Grand Detour Jeman Seo 3.20 - 4.20.25
List of works Back
Clos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quest
Close